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성화봉송
- 평창동계올림픽
- lower_bound
- Segment Tree
- 삼성 코딩테스트
- 캘리그라피
- 이분탐색
- boj
- MST
- 비트마스크
- 인간이 그리는 무늬
- 백트레킹
- 언어의 온도
- 그리디 알고리즘
- 창훈쓰다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위상정렬
- DP
- BFS
- 영어회화 100일의 기적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성화봉송주자
- 외판원 순회
- BOJ 2098
- multiset
- 다음 지도 api
- upper_bound
- 생활코딩
- 다음 API
- yolo
- Today
- Total
목록코딩 (164)
Hoon222y
deque 덱이라고 불리는 자료구조는- stack,queue 와는 다르게 양끝 모두에서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구조로- 관련된 연산으로는 push_front , push_back, pop_front, pop_back, front, back가 있다.
queue는 -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다른 한쪽 끝에서만 뺄 수 있는 구조- 먼저 나온것이 가장 먼저 나오기 때문에 FIFO(first int first out) - 관련 연산으로는 push, pop, front, back, empty, size 연산이 있다. queue는 DFS 인가 BFS 를 하기위해 사용한다. 딱히 .. 음... 뭐... 설명은 간단히 마무리 하도록 하겠다.
[stack] - 한쪽 끝에서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구조- 마지막으로 넣은것이 가장먼저 나오기 때문에 LIFO(last int first out)라고 한다.- 관련 연산으로는 push, pop, top, empty, size가 있다.push : 스택에 자료를 넣는 연산pop : 스택에서 자료를 빼는 연산top 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자료를 보는 연산empty : 스택이 비어있는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연산 . 비어있는 경우에는 1은 return, 차있는 경우에는 0 을 return size : 스택에 저장되어있는 자료의 개수를 알아보는 연산. stack을 활용하는 문제가 바로 이런 문제일 것이다. 어떻게 스택이 적용될까 하는 문제이긴 하지만 잘생각해보면 간단한 접근이 될 수있다. ()이렇게 뭉치려..
1) scanf("%1d" , &x); 이런식으로 %와 d사이에 숫자를 넣으면 그 숫자만큼 나누어서 입력받는다.2) 이런식이면 10개씩 나누어서 출력한다.char a[100];int main(){ while (scanf("%10s",a)==1) { printf("%s\n",a); } return 0; }
문제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친구관계로 묶여 있는 그래프가 있는데 그 그래프에서 모든쌍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이다그래프끼리의 간선의 가중치는 같다고 본다. 가중치가 다르다면 다익스트라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.플로이드 머셜에 대한 내용은 다음시간에 정리하는것으로 보고 이번시간에는 이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서 먼저 생각해보도록 하자 그래프 내에서 각 간선들의 가중치는 같고 그 그래프 내에서의 모든쌍의 최단경로를 구하는 문제의 경우에는 플로이드 머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알고리즘의 중요부분은 다음과 같다. for(int k=1;k
문제가 길어서 .... 문제를 짧게 설명하자면 책의 번호가 저렇게 정렬되어 있는데 순서대로 정렬을 할 때 최소의 노동력으로 정렬할 때 그때의 최소 노동력을 구하는 것이다.이번 문제의 경우도 해매고, 해매고 ... 이 문제는 LIS알고리즘을 활용 한 것 이라는데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알고리즘으로 이 문제의 포인트는 최소한의 노동력 = 전체값 - 그대로 두는 노동력의 최대값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.대략의 과정을 설명 하자면 앞에서 부터 시작을 한다. 813.8을 마지막으로 하는 정렬된 수열은 당연히 하나이므로 절약할 수 있는 노동력은 6이다.그 다음 812의 경우에는 812보다 작은 수가 없으므로 6 혹은 자기 자신의 노동력 20 중 그대로 두는 노동력이 큰 20이 저장..
그렇다 .. 처음 접근 했을때 ... 못풀었다 ㅋㅋㅋㅋㅋㅋㅋ 처음에 접근 방식을 완전 탐색? 뭐 이렇게 생각을 했었는데 전에 문해기 시간 때 했던 DP와 비슷한 접근이었다. 이 유형의 문제가 DP의 2가지중 하나의 대표적 유형이라고 한다.(힙색이었나? 배낭DP라고 했던듯 ...)일단 내 코드다. #include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long long arr[100001];long int dp[100001]; int main(){ int num; int weight; memset(dp,0,sizeof(dp)); memset(arr,0,sizeof(arr)); cin >> num >> weight; for(int i=1;i> a >> b; arr[i] =a*1000000LL+b..
예전에도 한번 풀어봤던 문제이다. 방학때 공부하는 책 한권을 완성하기 위해 다시 풀어보는 과정중에 next_permutation을 사용하여 접근을 해보았다. #include//#include #include#include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arr[56];int answer;int stuNum;int setNum;bool gett[56];vector v;vector::iterator iter; int check(int a){ for(int i=0;i> testCase; //scanf("%d",&testCase); // next_permutation 쓸꺼임 while(testCase--){ answer =0; memset(gett,true,sizeof(gett)); ..
123456789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char a; scanf("%c", &a); printf("%d" ,a);}cs